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기관소개
사업소개
정보공개
알림마당
소통과 참여
아동복지기관 현황
교육 · 평가
사이트맵 닫기

보도자료

HOME

보도자료

[보도자료] 대한민국 아동권리의 과거와 현재를 한 곳에 기록하다 '대한민국 아동권리 역사관' 개관
  • 작성자 총관리자
  • 작성일 2022.05.27

대한민국 아동권리의 과거와 현재를 한 곳에 기록하다!

- 아동권리보장원, 우리나라 아동권리 자료를 담은

대한민국 아동권리역사관전자 자료실(아카이브) 개관-


아동권리보장원(원장 윤혜미)527, 우리나라 아동권리 역사 관련 자료를 전자 문서화(디지털화)대한민국 아동권리역사관(이하 아동권리역사관’)을 개관했다.

아동권리보장원은 2020년부터 학계 및 현장 전문가, 역사학자와 함께 아동권리의 변천사를 보여줄 수 있는 각종 자료를 수집·정리하였으며, 527일 개관식을 갖고 아동권리역사관(lib.ncrc.or.kr) 국민에게 공개하였다.

아동권리역사관은 아동권리 100년의 역사를 회고할 수 있는 자료들을 한곳에 모아 디지털화하고 보존 체계를 마련하여, 아동을 포함한 국민의 자료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아동권리역사관은 아동권리 컬렉션, 아동권리 콘텐츠, 역사관 소개, 열린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권리 컬렉션은 아동 관련 신문 사료에서부터 연구보고서, 최근 추진된 어린이날 행사 사진 등의 자료를 주제별, 시대별, 유형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공간으로, 검색 기능을 활용해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했으며, ‘아동의 편의와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주제어(키워드)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

* (주제별) 어린이날, 아동기관, 정책 및 법, 신체건강, 정신건강 등 약 22(시대별)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일제강점기, 미군정기(1945-1948), 대한민국(1945)

(유형별) 일반문서 및 단행본, 논문 등

아동권리 콘텐츠에서는 아동권리보장원 발간 도서 아동권리 100년사 2(아동판, 성인판)100년의 역사적 흐름을 분야별(권리, 교육, 민간, 법률, 보건의료, 복지, 양육)로 정리한 전문 도서 7종을 전자책(e-book) 형태로 제공하고, 6*의 연대기로 구분한 아동권리 연표를 통해 주요 역사의 흐름과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하였다.

* (6개 연대기) 한국의 전통적 아동관(구한말~1922), 민족운동과 아동의 발견(1923~1944), 국가재건과 아동권리(1945~1960), 아동권리의 형성기(1961~1990), 아동권리의 성장기(1991~2004), 아동권리의 확산기(2005~)

이외에도 아동권리역사관 개설 취지를 설명한 역사관 소개‘, 아동권리 역사자료 기증 절차 안내 및 온라인 문의 게시판 등의 열린 마당이 있다.

아동권리역사관을 알리기 위한 대국민 SNS 참여 행사(이벤트)5 27()부터 63()까지 진행된다.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 방법은 아동권리역사관에 방문한 인증사진과 방문 소감을 개인 SNS에 필수 해시태그와 함께 전체 공개로 올리면 된다.

* (필수 해시태그) #아동권리보장원 #대한민국아동권리역사관 #아동존중 #아동권리실현 #100_어린이날

참여자 중 100명에게는 추첨을 통해 소정의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동권리역사관은 전용 누리집(lib.ncrc.or.kr), 또는 아동권리보장원 누리집(www.ncrc.or.kr) 내 아동권리역사관 광고(배너)를 통해 입장이 가능하다.

또한, 527일에는 아동권리역사관 개관식과 함께 지난 3년간 활동한 대한민국 아동권리 100년사*편찬위원회 해단식이 진행됐다. 해단식에서는 그간 활동해 온 편찬위원과 편집위원, 아동권리역사관전문위원에게 감사패가 전달되었다.

* 대한민국 아동권리 100년사편찬위원회 활동을 통해 아동권리 100년사 대중 도서 2종과 분야별 전문 도서 7종이 55일에 발간되었다.

** (위원명단) 김민(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 안동현(한양대학교 의과대학교 정신건강의학교실 명예교수) 이봉주(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양희(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교수) 이완정(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이호균(굿네이버스 사회복지법인 이사장) 제철웅(한양대학교 법학대학 교수) 허남순(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이방현 ·이방원(한국사회복지역사문화연구소 소장) 김장환(에디터스랩 대표)

아동권리보장원 윤혜미 원장은 아동권리역사관은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우리 아동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라며, “아동권리역사관이 아동의 알 권리와 국민의 아동권리 인식 향상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아동권리 관련 역사가 앞으로도 체계적으로 기록되고 보존될 수 있도록 아동권리보장원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