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기관소개
아동권리보장원 소개
원장 인사말
연혁
미션 및 비전
조직구성
CI
오시는길
사업소개
아동정책 연구 · 지원
아동정책 수립 · 평가 지원
아동정책영향평가 지원
아동통계DB 구축 및 운영
아동정책 연구수행 및 성과 확산
아동성장 · 돌봄
지역아동센터 지원
다함께돌봄센터 지원
아동통합서비스 지원(드림스타트)
아동보호
아동학대 예방 및 보호
실종아동 등 보호 지원
실종예방교육 신청
입양
입양사업안내
입양정책 및 절차
입양인·가족(입양부모, 친생부모) 지원
가정형보호
가정위탁사업 활성화
가정위탁 안내 및 절차
아동자립
아동자립지원
아동자산형성(디딤씨앗통장)
아동권리 증진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 지원
지역사회 중심의 놀이혁신 확산
대한민국 아동총회
아동위원회
정보공개
경영공시
통합공시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청구
사업실명제
윤리인권경영
윤리경영
클린신고센터
고객만족경영
고객헌장
핵심서비스 이행표준
고객응대서비스 이행표준
알림마당
공지사항
기관소식
보도자료
아동인권국제동향
채용안내
채용공고
친인척 채용 현황
홍보자료
발간물
영상물
뉴스레터
이미지 콘텐츠
자료실
연구자료
사업자료
자료집
후원안내
아동권리보장원 후원 안내
디딤씨앗통장 후원 안내
협약기관 · 후원기관 정보
소통과 참여
온라인 문의
나, 할 말 있어요!
자주하는질문
위탁부모 및 입양부모 안내
전문위탁가정(위기아동 보호가정) 모집
입양가정 심리정서지원사업 대상자 모집
코로나19 이겨내기
아동복지기관 현황
아동복지기관 현황
지자체 현황
교육 · 평가
ENG
통합검색
통합검색
검색
검색창 닫기
전체메뉴
모바일 메뉴
전체메뉴
기관소개
아동권리보장원 소개
원장 인사말
연혁
미션 및 비전
조직구성
CI
오시는길
사업소개
아동정책 연구 · 지원
아동정책 수립 · 평가 지원
아동정책영향평가 지원
아동통계DB 구축 및 운영
아동정책 연구수행 및 성과 확산
아동성장 · 돌봄
지역아동센터 지원
다함께돌봄센터 지원
아동통합서비스 지원(드림스타트)
아동보호
아동학대 예방 및 보호
실종아동 등 보호 지원
실종예방교육 신청
입양
입양사업안내
입양정책 및 절차
입양인·가족(입양부모, 친생부모) 지원
가정형보호
가정위탁사업 활성화
가정위탁 안내 및 절차
아동자립
아동자립지원
아동자산형성(디딤씨앗통장)
아동권리 증진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 지원
지역사회 중심의 놀이혁신 확산
대한민국 아동총회
아동위원회
정보공개
경영공시
통합공시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청구
사업실명제
윤리인권경영
윤리경영
클린신고센터
고객만족경영
고객헌장
핵심서비스 이행표준
고객응대서비스 이행표준
알림마당
공지사항
기관소식
보도자료
아동인권국제동향
채용안내
채용공고
친인척 채용 현황
홍보자료
발간물
영상물
뉴스레터
이미지 콘텐츠
자료실
연구자료
사업자료
자료집
후원안내
아동권리보장원 후원 안내
디딤씨앗통장 후원 안내
협약기관 · 후원기관 정보
소통과 참여
온라인 문의
나, 할 말 있어요!
자주하는질문
위탁부모 및 입양부모 안내
전문위탁가정(위기아동 보호가정) 모집
입양가정 심리정서지원사업 대상자 모집
코로나19 이겨내기
아동복지기관 현황
아동복지기관 현황
지자체 현황
교육 · 평가
사이트맵 닫기
다함께돌봄센터 지원
HOME
다함께돌봄센터 지원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인쇄
사업안내
추진체계
사업지원단소개
정부와 지자체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온종일 돌봄체계구축’
을 통한 지역중심의 초등 공적 돌봄 확대
다함께돌봄
온종일돌봄체계
다함께돌봄사업 목적
지역 중심의 돌봄체계 구축 및 초등돌봄 사각지대 해소
지역 사회 중심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아동 돌봄 공동체 기반 조성
지역 내 돌봄 수요 및 자원을 고려하여 아동 돌봄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내 틈새 돌봄 기능을 강화하여 돌봄 사각지대해소
다함께돌봄사업 법적근거
「아동복지법」제44조의2(다함께돌봄센터)
[아동복지법(2019.4.16.시행)]
제44조의2(다함께돌봄센터)
①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초등학교의정규교육 이외의 시간 동안 다음 각 호의 돌봄서비스 (이하 “방과 후 돌봄서비스”라 한다)를 실시하기 위하여 다함께돌봄센터를 설치·운영할수 있다.
1. 아동의 안전한 보호
2. 안전하고 균형있는 급식 및 간식의 제공
3. 등 · 하교 전후, 야간 또는 긴급상황 발생 시 돌봄서비스 제공
4. 체험활동 및 교육 · 문화 · 예술 · 체육 프로그램의 연계 · 제공
5. 돌봄 상담, 관련 정보의 제공 및 서비스의 연계
② 시 · 도지사 및 시장 · 군수 · 구청장은 다함께돌봄센터의 설치 · 운영을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법인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③ 국가는 다함께돌봄센터의 설치 · 운영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지방자치단체에 지원할 수 있다.
④ 다함께돌봄센터의 장은 시 · 도지사 및 시장 · 군수 · 구청장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아동의 보호자에게 제1항각 호의 방과 후 돌봄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부담하게 할 수 있다.
⑤ 다함께돌봄센터의 설치기준과 운영, 종사자의 자격 등에 관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다함께돌봄사업 추진경과
다함께돌봄사업 10개소 실시, 행안부-복지부 공동 공모사업(‘17.7월)
관계부처 합동 온종일돌봄 정책 발표(‘18.4월)
다함께돌봄센터 17개소 설치·운영(‘18.12월 기준)
다함께돌봄사업지원단 발족(‘19.1월)
다함께돌봄센터 설치·운영 관련 「아동복지법」개정(‘19.1월)
다함께돌봄센터 173개소 설치 운영(‘19.12월 기준)